분노를 수익화하는 인플루언서 레이지베이터
SNS에서 만날 수 있는 '레이지베이터' 인플루언서 유형과 그들의 수익 모델
소셜 미디어(SNS)는 더 이상 단순히 소통과 공유의 공간이 아닙니다.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그 관심을 수익화하는 거대한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 중에서도 최근 가장 눈에 띄는 유형의 인플루언서는 바로 '레이지베이터(Lazyvator)'입니다. 레이지베이터는 분노(rage)와 미끼(baiter)를 결합한 신조어로, 사람들의 분노를 자극하는 콘텐츠를 전문적으로 제작해 높은 조회수와 광고 수익을 얻는 인플루언서들을 의미합니다.
1. 레이지베이터의 특징과 콘텐츠 유형
(1) 특징
- 자극적인 소재 활용
주로 사람들의 감정을 극단적으로 자극하는 소재를 다룹니다.
예: 논란이 될 수 있는 정치적 의견, 사회적 금기, 유명인 비판. - 의도적인 도발
악플을 유도하거나 비판받을 만한 행동을 고의적으로 수행.
예: 공공장소에서 몰상식한 행동을 촬영하여 올림. - 높은 반응 유도
분노, 혐오, 논란은 사람들의 댓글 참여와 공유를 유발하여 콘텐츠가 확산되기 쉽습니다.
(2) 주요 콘텐츠 유형
- 저격 콘텐츠
- 유명 인플루언서나 연예인을 공개적으로 비난하거나 조롱.
- 예: 패션모델의 몸매를 비판하거나 특정 정치인을 겨냥한 발언.
- 논란성 실험 영상
- 사회 규범을 어기는 실험을 통해 누리꾼의 분노를 유발.
- 예: 식당에서 고의적으로 진상을 부리는 행동을 촬영.
- 허세와 과시
- 과도하게 부유하거나 비현실적인 생활을 연출해 대중을 도발.
- 예: 명품 쇼핑 영상을 올리며 "여러분은 절대 살 수 없을 겁니다"라는 멘트를 추가.
- 몰상식한 행동 기록
- 의도적으로 규칙을 어기거나 타인을 불편하게 만드는 상황을 촬영.
- 예: 공공장소에서 소음을 내거나 무례한 행동을 통해 반응을 유도.
2. 레이지베이터가 챙기는 광고 수익
(1) 주요 수익 구조
- 플랫폼 광고 수익
- 유튜브, 틱톡 등에서 발생하는 조회수 기반 광고 수익.
- 수백만 조회수를 기록하는 콘텐츠는 광고 단가가 높습니다.
- 예: BBC에 보도된 '윈타(Winta)'는 레이지베이터 콘텐츠로 **15만 달러(약 2억 원)**의 연간 수익을 올림.
- 브랜드 협업
- 자극적이거나 논란이 되는 이미지를 선호하는 일부 브랜드에서 협찬.
- 예: 개성이 강한 틈새 시장을 타깃으로 한 브랜드(스트리트 패션, 비주류 제품 등).
- 슈퍼챗 및 도네이션
- 유튜브 라이브 스트리밍이나 플랫폼 내 기부 기능을 통해 수익 창출.
- 아이러니하게도 비난 댓글을 달기 위해 라이브에 참여하는 사람도 많음.
- 바이럴 상품 판매
- 자신의 논란성 콘텐츠를 활용해 상품을 판매.
- 예: "저를 싫어하는 당신들을 위해 만든 티셔츠"와 같은 역발상 마케팅.
(2) 구체적인 수익 사례
- 광고 수익
- 유튜브: 조회수 100만 회당 평균 300
1,000달러(약 40만130만 원). - 틱톡: 조회수 기반으로 인플루언서 펀드 보조금.
- 유튜브: 조회수 100만 회당 평균 300
- SNS 후원 수익
- 팔로워 수가 많을수록 스폰서 비용 증가(한 게시물당 수백만 원 이상).
- 틱톡이나 인스타그램 릴스에서의 조회당 수익은 낮지만, 반복적 바이럴로 누적 효과가 큼.
3. 왜 레이지베이터가 성공할까?
(1) 알고리즘의 영향
- SNS 플랫폼의 알고리즘은 감정적인 반응(댓글, 좋아요, 공유 등)을 많이 유발하는 콘텐츠를 상위에 노출.
- 분노는 가장 강렬한 감정 중 하나로, 이런 콘텐츠는 자연스럽게 노출 기회를 얻음.
(2) 인간 심리의 약점
- 사람들은 분노를 느낄 때 더 쉽게 반응하고 공유하며, 논란을 목격한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참여하려는 경향이 있음.
(3) 낮은 콘텐츠 제작 비용
- 논란성 콘텐츠는 별다른 제작비용 없이도 높은 조회수를 기록할 수 있어 초기 진입 장벽이 낮음.
4. 레이지베이터가 초래하는 문제점
(1) 부정적 사회적 영향
- 자극적 콘텐츠는 대중 간의 갈등을 심화시키고, 건강한 소셜 미디어 문화를 해칩니다.
(2) 플랫폼의 질적 저하
- 논란성 콘텐츠가 주를 이루면, 플랫폼의 전반적인 신뢰도가 하락.
(3) 악순환 구조
- 자극적인 콘텐츠가 성공 사례로 자리 잡으면서, 더 많은 사람들이 같은 방식으로 행동.
5. 소비자와 플랫폼의 대응 방법
(1) 소비자
- 논란성 콘텐츠에 반응하지 않고, 무시하거나 신고하는 방식으로 대응.
- 비판적 시각으로 콘텐츠를 소비하고, 윤리적이고 유익한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지지.
(2) 플랫폼
- 분노 유발 콘텐츠에 대한 알고리즘 우선순위를 낮추고, 논란성 행동에 대한 제재 강화.
-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콘텐츠 제작자를 지원하는 정책 마련.
결론
레이지베이터는 분노를 수익화하는 현대 소셜 미디어의 양면성을 극명히 보여줍니다. 그들은 분노라는 강렬한 감정을 도구로 삼아 놀라운 수익을 창출하지만, 동시에 윤리적 문제를 제기하며 사회적 논란을 초래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소비자와 플랫폼 모두가 책임감 있는 태도로 임해야 하며, 건강하고 긍정적인 디지털 문화를 만들어가는 데 동참해야 합니다.
2024 신조어 뭐가 생겼을까?
안녕하세요. 이름공방입니다. 2024년도 벌써 중반을 향해 달려가고 있습니다. 올해도 다양한 신조어들이 등장해 우리 일상 속에 자리 잡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재미있는 신조어들을 묶어
nameatelier.tistory.com
신조어가 표준어가 되는 과정
표준어가 아닌 신조어들이 있습니다. 언어는 네 가지 조건을 만족하게 되면 사람들 사이에 쓰이게 되는데요. 오늘은 신조어가 표준어가 되는 과정을 같이 알아보려 합니다. 표준어는 어떻게 만
nameatelier.tistory.com
신슬기 화보 인터뷰 말갛다 의미와 활용법
신슬기 배우 인터뷰에 등장하는 '말갛다' 단어를 듣고 뜻을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이 '말갛다'라는 순우리말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 해요. 어쩌면 처음 들어보는 단어일 수도 있고, 어디선가 한
nameatelier.tistory.com
할로윈데이 어떻게 생긴 걸까?
할로윈을 기대하는 당신이 알아야 할 놀라운 사실들매년 10월 31일이 다가오면 많은 사람들이 기대와 설렘을 느끼며 할로윈을 준비합니다. 이때가 되면 호박 등불, 무서운 의상, 그리고 트릭 오
nameatelier.tistory.com
댓글